728x90
SMALL

접영킥 5

[접영 발차기 할 때 다리가 벌어져요!!]

Q : 의식하면서 계속 교정하는데도 발이 벌어집니다. 발 예쁘게 모아서 차시는 분들을 보면 너무 부러워요!! A : 접영 발차기를 포함한 모든 발차기를 할 때는 발과 발이 연결되는 듯하게 모아서 차야 합니다. 이유는 발이 벌어져 있다면 떨어진 발 각각 하나하나의 힘으로 물을 차기 때문에 힘을 받아 몸을 밀어 줄 수가 없습니다. 발이 붙어 있다면 두발의 크기를 지름으로 큰 원의 힘을 받아 몸을 밀어주기 때문에 강한 힘으로 몸을 밀어 줄 수 있습니다. 선수들은 발을 안짱다리를 하는 이유가 그런 이유입니다. 안짱다리를 하게 되면 그만 큼 원의 지름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하면 붙일 수 있을까요? 수영의 기본은 앞으로 진행하고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가만히 제자리에 떠있을 수는 없습니다. 앞으로 가기 위해..

수영QnA/접영 2023.03.28

[접영 출 수킥] 접영 킥 타이밍 !?

Q : 초급반에서 접영 배울 때 저는 발차기를 한 번만 하는 걸로 배웠어요. 흔히 말하는 입수 킥 출수 킥은 안배우고 입수 킥만 배운 거 같아요 한 팔 접영, 양팔 접영 할 때도 입수 킥만 했는데.. 중급반 올라와서 보니 다 출수 킥도 차시더라고요. 제가 잘 못 알고 하고 있는 건지.. 아니면 나중에 출수 킥은 배우는 건지 궁금해요.!! A : 입수 킥 및 출수 킥 두 번 차는 것이 맞습니다. 입수 킥은 몸은 대각선으로 들어갈 때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출수 킥은 물에서 몸을 펴고 팔을 당기는 타이밍에 차주는 것입니다. ​ 수영은 상체 동작을 할 때는 항상 발차기를 동반해야 합니다. 다른 분들의 말씀처럼 출수 킥은 그냥 되니깐 신경 안 써도 된다는 말은 정도의 차이가 있겠지만 킥은 하고 ..

수영QnA/접영 2023.03.16

[접영킥 발차기] 상상 속에선 우아한 접영 웨이브 !!

파도 Q : 오늘 처음으로 접영 킥은 배웠습니다. 엄지발가락끼리 붙이라는데 저는 그게 안되네요. 발을 붙이면 물속에서 중심이 안 잡혀서 몸이 일자가 안되고 말 흔들려요. 제가 그 질문을 하니깐 배에 힘을 주라고 하시는데 수영을 할 때도 배에 힘을 주는지 처음 알았어요. A : 수영을 할 때는 배에 힘을 준다기 보다는 몸이 훌렁 거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드리는 말씀이 었을 겁니다. 이유는 물 밖에서 서있을 때의 몸을 엎드려 놓아야 하는데 물 밖에 있을 때는 '배에 힘을 주면서 꼭 균형이 깨지지 않도록 노력해야지?'라고 생각하시나요? 배에 힘을 주면서 꼭 균형이 깨지지 않도록 노력해야지?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수영은 엎드려서 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항상 앞으로 진행을 해야 하고 상체 하체가 분리되거나 엉덩이..

수영QnA/접영 2023.03.16

[접영]접영킥 접영 발차기!!

Q1. 접영을 꼭 배워야 되나 접영은 왜 배우나 생각이 많았었습니다. 지금 평영 배울 다리 컨디션이 아니라 접영 먼저 할 수 있냐고 해서 오늘 처음으로 발차기를 배웠는데, 선생님이 잘한데요. 믿을 수가 없어요 왜 앞으로 잘나가니? 아직 팔은 안배우고 숨 쉴 타이밍도 모르긴 하지만 잘한다고 하니깐 접영이 재밌어집니다. A: 접영 발차기는 자유형 발차기를 동시에 한는 것입니다. 자유형 발차기는 한발씩 차기때문에 롤링을 하게 됩니다. 접영 발차기는 자유형 발차기를 동시에 차주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찬다면 그 결과물로 엉덩이가 올라오게 될 것입니다. 반대로 다리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배를 물속으로 쭉 내밀고 허리가 들어가게 한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 올려야 합니다. 인사를 하듯이 양발을 붙이고 다리를..

수영QnA/접영 2023.03.16

[접영] 접영 킥 발차기 기본설명 !!

안녕하세요~!! 오늘의 두번째 포스팅으로 미뤄뒀던 접영 발차기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접영편에서도 간단하게 설명을 드렸었는데요 내용이 살짝 겹칠 수도 있으니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Q&A 1. 접영 발차기는 발을 꼭 모아야 할까요? 네 그렇습니다) 접영 발차기 뿐만 아니라 모든 발차기는 엄지발가락끼리 붙어있거나 서로 스치듯이 안쪽으로 발차기를 차야 합니다. 상상해 보겠습니다. 양발이 붙어 있다면 그 양발의 넓이에서 큰 원으로 힘을 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발이 살짝이라도 떨어졌다면 발 하나하나 각각 작은 원의 힘밖에 가할 수 없게 됩니다. 발을 모아서 혹은 붙여서 찰 때에는 불편함과 힘듦 어려움이 있겠지만 그만큼 앞으로 전진하게 됩니다. 반면 다리가 벌어져 있다면 찰 때는 쉽겠지만 앞으로 가지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