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수욕장 풍경

무지개가뜬 해수욕장 전경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알고 있는 해수풀에 대해서 막연했던 생각을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려고 합니다.
해수 풀이라고 하면 어떤 느낌이 떠오르시나요??
제가 위에 마련한 사진의 느낌을 대부분 받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해수풀의 정의는 실내, 실외에 인공으로 만들어진 수영장에서 바다의 장점을 옮겨 담은 수영장 물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물맛 또한 짭짤하게죠??? 소금물인가??? 바로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 우선 해수풀과 약품투여 왜?해야하는걸까요?? 그냥 수돗물 쓰면 안되나요?
수영장에는 염소(CL 소독제)라고 하는 약품이 반드시 일정 기준치 이상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유는 풀을 순환한다고는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곳이다 보면 발생하는 세균 등 나쁜 물질이 물에 섞여 들어가게 됩니다. 염소(CL 소독제)가 기준치 이하라고 한다면 같은 수영장을 이용한 사람들은 세균 등에 노출되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일정 수준 이상의 염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영업 정지까지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수영장 물에는 염소(CL 소목제) 이외에도 쿨샷(Ph) 및 응집제라는 약품이 들어가 땀이나 침 머리카락 등을 응집시켜 바닥으로 떨어뜨려주며 업장 마감 시 클리너(바닥청소기)가 빨아들이면서 수영장 수질을 관리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다른나라를 막론하고 국제 표준으로 사용하는 기준 및 약품을 사용하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혹시 수영장에서 물을 먹고 배탈이 난적이 있다? 개인적으로 연락주시면 500원 드립니다. 소독제의 힘)
*그동안 지긋지긋했던 코로나 시기에도 오히려 수영장 내부에서는 다른 어느 곳 보다고 안전하다는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유는 수영장 물에는 염소가 있어 코로나 바이러스가 물에 섞인다고 해도 즉시 소멸되면 공조 시스템이 어느 실내보다도 잘되어 있어 혹시 공기 중에 퍼진다 해도 일정 거리만 두고 있다면 공조기가 있는 천정으로 날아가게 될 것입니다. 다만 샤워실, 라커룸 등 수영장 밖에서의 개인위생을 철저히 해야 할 것입니다.

워터파크

물 놀이터
물 놀이터(물 놀이시설)
저도 경험한 일이지만 아이들이 물놀이터를 다녀오면 한 번 정도는 아팠던 경험이 있으셨을 겁니다. 저도 저희 첫째가 물놀이터에서 놀고 돌아온 이후 아데노바이러스에 걸려서 10일 이상 고생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이유가 물놀이터에는 염소(CL 소독제) 투입 기준이 없어서 일 것으로 생각이 들었습니다.(실내수영장보다는 위생관리가 어려움) 최근에는 일부 물놀이터에서는 염소(CL소독제)투입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아무래도 야외물놀이 시설이다 보니 투입한 염소가 금방 공중으로 날아가게 될 것입니다.(그래서 야외 수영장에서는 소독제 냄새가 많이 나는 것입니다. 거의 물 반 소독제 반이라고 생각하면 마음이 편하실 겁니다.) 만약 염소 투입 기준 규정이 마련돼 있지 않다면 물놀이터도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뇌피셜)
- 수영장에 염소(CL 소독제)를 쓰는 건 알겠는데 해수풀과 약품의 차이는 뭔가요?
해수풀은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바다의 장점을 옮겨 담으려는 노력에서 만들어진 방식입니다. 인체의 체액 염분농도와 유사한 염분농도를 인공적으로 조성한 후 전기 분해를 통해 복합 살균물질(차이 염소산나트륨 CL)을 발생시켜 수질 정화를 하는 것입니다. 결국 이것도 염소(CL소독제)입니다.

해수풀 장점
인체의 체액 염분농도와 유사하게 만들기 위해서 인체에 무해한 식용정소금을 사용하여 분해하기 때문에 피부건조 및 민감한 피부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연구 개발 한 것입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식용 정제소금만 비축해두면 되기 때문에 보관 관리 부분에서 유리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리고 회원의 입장에서도 코에 물이 들어가도 맵지가 않고 일반 물보다 물에 잘 뜨기 때문에 수영 영법을 익히는데 좀 더 유리한 장점이 있습니다.

해수풀 단점
해수풀의 단점을 찾아보자면 결국에는 소금이라는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해수풀을 이용하는 모든 수영장에서 전남 해남에서 생산된 천일염만을 사용한다면 정말 최고일 것입니다. 천일염 한 포대 값은??(개인적으로 찾아보시면 놀라실 겁니다) 하루 1~2로 포대를 사용하다고 생각해 보시면 됩니다. 경영진의 윤리의식이 수질관리에 절대적으로 반영되는 부분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아무리 정제된 소금이라고는 해도 불순물이 섞이기 마련입니다. 소금이 직접 들어오는 것은 아니지만 해수풀에서는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끈적끈적 해지는 느낌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초창기 해수 풀이 보급될 때 많은 수영장들에서 해수풀을 채택해서 사용했지만 요즘 대형 수영장에서는 거의 해수풀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일정 기간이라고 하는 기간이 대형 수영장에서 물을 교체하는 시기보다도 보통은 빨리 도달한다는 이유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어린이 수영장 같은 경우는 해수풀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환경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린이 수영장은 적응 담수 양으로 농도 조절이 용이하며 일반적으로 물 교체 시기가 대형 수영장들보다는 빠르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을 위하는 마음 만큼 수질을 잘관리 할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 그럼 일반 대형 수영장에서는 어떻게 수질을 관리하나요??
일반 수영장 대부분은 한*라는 회사에서 공급하는 아*타라는 제품을 사용합니다. 직접 해수풀을 만들 때 분해했던 방식과 같이 공장에서 염소(CL 소독제)를 추출해서 만든 제품을 자동투입장치를 통해 수영장으로 투입하여 염소 농도를 맞춰주는 시스템입니다.

보통 어린이 타임 레슨 문의를 하실 때 가장 먼저 질문하시는 부분이 "수온은 어떻게 되나요?", "해수 풀인 가요?"입니다."저희는 해수풀은 아닙니다."라고 답하면 "그럼 그냥 락스 물인가요?" (-_-;;)라는 답이 돌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저는 위의 내용들을 정리하여 빠르게 설명을 드리려고 노력을 합니다. 소중한 아이들을 맡기는 부모의 마음은 저도 같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해수풀과 수영장 수질관리에 대한 포스팅이 었습니다.
'수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5종 경기 소개] (0) | 2023.03.25 |
---|---|
[ 트라이애슬론 종목 소개 NO.1 ] (0) | 2023.03.23 |
[수영용품] 실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훈련 용품 !! (0) | 2023.02.04 |
[23년도 전국 수영대회 일정표 ] (0) | 2023.02.03 |
[경영의 경기 종목 ] (0) | 2023.02.03 |